1919년 10월27일 ‘의리적 구토’ 이후 시작된 한국영화 100년의 역사는 수많은 걸작을 관객에게 선사해왔다. 당대 대중의 감성을 어루만지며 진한 감동과 웃음과 눈물을 안겨준 대표적 작품이 여기 있다. 창간 11주년을 맞은 스포츠동아가 감독, 제작자, 평론가 등 100인의 영화 전문가들에게 한국영화 100년, 그 최고의 작품을 꼽아 달라고 요청해 얻은 답변이기도 하다. 그 걸작들을 시대순으로 소개한다.
“시적 감흥이 잔향처럼 머리 속에 남는 영화다.”
이만희 감독의 영화 ‘만추’가 공개된 1966년 12월3일자 경향신문은 작품이 추구한 탁월한 영상미와 새로운 영화언어를 이렇게 표현했다. “스토리를 배제한 고도의 묘사를 시도한 영화”라며 “대화는 적어도 치밀한 연기와 인상적인 주제음악과 효과음 그리고 차가운 카메라로 영상을 꾀했다”고 평했다.
실제로 ‘만추’의 등장은 당대 한국영화의 새로운 전환이나 다름없다. “줄거리 위주의 재래식 영화를 탈피했다”(동아일보 1966년 11월26일자)는 평가처럼 소설보다 시에 가까운 작품으로, 설명 대신 여백을 더한 미장센을 통해 주인공인 두 인물의 심리를 파고든다.
달리는 열차 안, 차창을 옆에 두고 마주앉은 두 남녀가 있다. 밖의 공기를 마시려 창을 열려는 혜림(문정숙)과 자꾸만 창을 닫으려는 남자(신성일). 혜림은 남편 살해 혐의로 10년형을 선고받아 교도소에 복역 중인 모범수다. 3일간 휴가를 얻어 어머니 묘소를 찾아가는 길이다. 누군가로부터 쫓기는 듯한 남자는 우연히 혜림과 동행하게 되고, 이들은 감정에 끌려 며칠의 시간을 함께 보낸다. 1년이 지나고, 혜림은 재회를 약속한 장소에서 남자가 오기를 하염없이 기다린다. 그가 왜 오지 못하는지 모른 채다.
1966년 완성된 ‘만추’는 50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 감성에 그대로 빠져들 수밖에 없게 하는 불멸의 힘을 지녔다. 영화가 나온 뒤 꾸준히 이뤄진 리메이크 시도는 이 작품의 상징성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1975년 김기영 감독은 ‘육체의 약속’이라는 제목으로, 1981년 김수용 감독은 배우 김혜자와 작업한 또 다른 ‘만추’를 내놓으면서 당대 관객과 감성을 공유했다.
‘만추’는 이만희 감독의 대표작인 동시에 그의 세계관이 분명히 녹아 있는 작품이다. 1965년 영화 ‘7인의 여포로’를 내놓고 반공법 위반으로 옥고를 치르다 잠시 귀휴한 감독은 김지헌 작가에게 ‘형무소에 오래 있던 여자가 세상에 나온다’는 설정을 공유하면서 ‘만추’ 시나리오를 이끌었다. 당시 주로 전후 사회상을 담거나 시대적 분위기와 맞물리는 이야기가 한국영화의 주를 이뤘다면 ‘만추’는 두 인물의 미묘한 심리를 영상 위주로 구현해 큰 놀라움을 안겼다.
전찬일 영화평론가는 “‘만추’는 이만희 감독의 전설적 문제작”이라며 “리얼리즘적인 모더니스트이자 모더니즘적인 리얼리스트로서 영화 장르나 연기, 연출 등 측면에서 경지를 일궈냈다”고 평했다. 김두호 평론가는 “그야말로 애정문제를 극한적으로 다뤄 인간이 얼마나 동물적인가를 보여준 작품”이라며 ‘만추’를 돌아봤다.
몇 차례 리메이크 가운데 단연 탁월한 완성도를 갖춘 영화는 2011년 김태용 감독의 ‘만추’이다. 현빈과 탕웨이가 주연해 미국 시애틀을 배경으로 이야기를 펼쳤다.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책상에 탕웨이의 사진을 붙여두고 집필했다”는 김태용 감독은 이 작품을 계기로 탕웨이와 사랑에 빠져 2014년 결혼했다. 영화만큼이나 드라마틱한 러브스토리로 기억되고 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음이미지가 보여집니다.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