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들개지는 주기성과 계절성이 뚜렷하고 수종, 열섬효과 및 미기후 환경온도의 영향을 받아 넓은 범위에서 날린다. 버들개지는 일반적으로 4월 상순에서 5월 하순까지 약 50일 정도 지속된다. 구체적 지역에서 뚜렷한 강수량, 기온 하락, 강풍 등이 없다면 버들개지 날림은 일반적으로 약 20일 정도 영향을 미치며 발병률이 높은 기간은 일반적으로 약 일주일이다.
사실, 버들개지는 일반인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표면에 꽃가루, 먼지 등 알레르기겐이 쉽게 흡착되기 때문에 일부 민감한 사람들, 특히 저항력이 낮은 아이들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쉽다. 주요증상으로는 눈 가려움증, 발적, 눈물 등이 있다. 호흡기증상은 맑은 코물, 코막힘, 빈번한 재치기, 목 가려움증, 기침 등이 있고 심할 경우 천식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피부에도 건조함, 발적, 가려움증, 풍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코로 흡입하는 것을 방지해야
민감한 사람들은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방역을 철저히 하고 마스크사용시에는 사용지침에 따라 착용해야 한다. 코, 입, 턱을 완전히 가리고, 마스크가 얼굴과 밀착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밀페성이 더 좋은 마스크는 방호효과가 더 좋지만 개인의 신체상태에 따라 적절한 마스크를 선택해야 한다.
눈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야
날리는 버들개지가 눈에 들어가면 제거하기가 어렵다. 민감한 사람들은 눈이 붉어지고 눈물이 날 수 있으며 그 우에 있는 많은 먼지와 세균도 눈에 들어가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외출시 고글, 안경 등을 착용해야 하며 특히 자전거를 타고 외출하는 아이들은 버들개지가 눈에 들어올 위험이 커지므로 반드시 눈을 잘 보호해야 한다.
자신을 잘 감싸기
피부가 알레르기반응을 보이는 사람은 가능한 피부에 버들개지가 닿는 것을 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피부가 가렵고 참기 힘들며 심지어 붉고 부어오르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외출할 때는 자신을 ‘잘 감싸야’ 하는바 모자를 쓰고 긴 옷과 바지를 입어야 한다. 피부에 버들개지가 묻은 후에는 즉시 제거해야 하고 가능하면 따뜻한 물로 씻어내면 알레르기예방이나 알레르기증상 경감에 도움이 된다. 피부에 알레르기증상이 나타나면 절대 긁지 말고 가볍게 두드리거나 랭찜질을 하거나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약을 바르면 증상을 줄일 수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