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연합뉴스와 MOU 맺은 중국 흑룡강신문 사장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9월11일 07시19분    조회:5208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인물이름 : 한광천


"방송 분야 확대 등 글로벌화 통해 한중 관계 발전에 앞장서겠다"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동북 3성에 모여 살던 조선족이 중국의 개혁 개방과 한·중 수교의 영향으로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조선족 언론도 글로벌화해야 합니다."

10일 연합뉴스와 콘텐츠 교류, 공동 취재, 기자 연수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한광천(51) 흑룡강신문사 사장은 협약식을 마친 후 인터뷰 첫마디로 "동북 3성의 조선족 마을 공동화가 동포 언론사에는 위기이자 기회"라며 "방송과 인터넷 등을 통한 글로벌 미디어로 나아가는 것이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도약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동북 지역 최북단인 헤이룽장(黑龍江)성의 조선족 대표 언론사인 흑룡강신문은 1961년에 창간돼 일간지, 주간지, CCTV.COM 한국어 방송 등 다양한 매체를 갖고 있다.

2005년부터는 베이징(北京), 칭다오(靑島), 선양(瀋陽) 등 중국 주요 도시로 나간 조선족을 위해 특간지 '연해소식'을 발행하고 있으며 서울, 칭다오, 베이징, 옌볜(延邊), 옌타이(煙臺)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한 사장은 "헤이룽장성에 거주하는 조선족이 50만 명에서 16만 명으로 줄면서 신문도 5만 부에서 1만 부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성 인구 3천800만 명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판 신문이 6만 부인 점에 비하면 상대적으로는 많은 부수"라고 소개했다.

이어 "흑룡강신문은 출범 당시부터 중앙 정부의 허가를 받은 성(省) 직속의 당 기관지"라며 "소수민족인 조선족의 민원 등 여론 전달에 충실해 조선족 준정부기관이라는 칭호를 받고 있다"고 자긍심을 내비쳤다.  

1987년 흑룡강신문에 입사한 그는 2008년 사장으로 취임해 종이 매체인 신문사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사업 다각화에 앞장서고 있다.  

그는 2011년 중국 국영방송인 CCTV를 찾아가 인터넷 한국어 방송 제작을 제안했다. 당시 CCCTV.COM의 외국어 방송 채널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5개밖에 없었다.  

CCTV.COM은 한국어 방송을 무료로 제작해 제공하겠다는 한 사장의 제안을 반신반의하며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러나 1년 후 영어 다음으로 많은 조회 수를 기록하자 지금은 한국어 방송 제작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흑룡강신문이 방송 분야에 진출하는 것을 두고 사내 일각에서는 반발도 제기했다. 종이신문을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서였다.  

이에 대해 한 사장은 "방송과 인터넷 분야로 확대하는 것은 전 세계 한민족과 중국 한족 등으로 독자를 무한하게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선·후배를 설득했다"면서 "흑룡강신문이 그 출발점임을 잊지 않고 최상의 경쟁력은 양질의 기사에서 나온다는 것을 구성원 모두에게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사장은 연합뉴스와의 MOU를 계기로 언론사 역량이 늘어나게 된 것을 무엇보다 반겼다.  

"중국에서는 연합뉴스에 대한 기사 신뢰도가 매우 높습니다. 신문과 방송 양쪽에서 다양한 취재 기법과 기사 제작 시스템을 배우고 콘텐츠 교류도 확대해 조선족 사회뿐만 아니라 중국에 한국을 알리는 대표 언론사로 우뚝 서고 싶습니다."

중국조선족학회 부회장, 중국조선족기업가협회 고문, 헤이룽장성문화건설촉진위원회 대외 회장, 헤이룽장성신문협회 부회장 등 다양한 직함을 지닌 그는 한·중 양국이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하려면 자국의 문화만 일방적으로 알리려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타문화가 생명력을 갖고 오랜 사랑을 받으려면 대등한 교류가 전제돼야 합니다. 그렇기에 중국에 부는 한류가 반짝 붐에 그치지 않으려면 역으로 한국에 중국을 소개하는 방송이나 보도가 늘어나야 합니다. 양국을 잘 아는 흑룡강신문이 연합뉴스와 협력해 그 역할을 맡는다면 장기적으로는 한·중 우호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624
  • 연길한태경제무역회사박경철사장의 창업아이템 ‘한일매트로’로 중국시장 공략…년매출액 100만원 돌파   중국 연길•두만강지역국제투자무역박람회에서 제품을 전시하고있는 박경철사장. 연길한태경제무역회사의 박경철사장(36세)은 창업 2년만에 년매출액 100만원을 돌파했고 중국 연길•...
  • 2014-10-08
  • 화동미디어 강민구 대표    “내 열정을 쏟고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의 기업가가 되고 싶었다.”   진리와 학문의 전당이자 상아탑으로 불리던 대학이 스펙탑을 쌓는 취업교육의 장으로 전락해버린 지금, 젊은 지성인들의 때묻지 않은 열정과 청년들의 도전정신은 어디로 가버렸을까?...
  • 2014-10-06
  • 세계 최대 동포 경제단체로 68개국 133개 지회를 둔 세계한인무역협회(이하 월드옥타․World-OKTA)가 1일 여수 엑스포 디지털 갤러리에서 이사회를 열고 제18대 신임회장에 박기출(58) 전 수석부회장을 선출했다. 박 신임 회장은 지방대(울산대 건축학부 76학번) 출신으로 세계적인 자동차부품 기업인 싱가포르 PG홀딩스를 ...
  • 2014-10-03
  • (흑룡강신문=하얼빈) 피금련 특약기자 최성림 기자 = 밀산시 조선족사회에는 남다른 경영철학과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히 꿰뚫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시장상황에 맞는 적합한 투자 및 맡은바 공익사업에 최선을 다하는 프로정신으로 민족기업의 전렬에서 알찬 수익을 창출하면서 발빠른 확장을 해나가고 있는 실력파 경영인이...
  • 2014-09-30
  • 손글씨에 영혼을 담다 -서예학박사 서영근의 성공스토리 이화진(동북아신문 편집국장) 1. 젊은 도전, 실패는 두렵지 않다 ) 이것이 서영근의 첫 번째 좌우명이다. 사범대학 재학시절부터 이런 좌우명을 갖고 열심히 달린 서영근은 끊임없이 남들이 상상도 못하는 불가능에 도전하였다. 1996년 4월 14일, 연변대학 예술학원 ...
  • 2014-09-29
  • 월드옥타 대련지회 회장 김강의 이야기 월드옥타 대련지회 김강회장. 지난 9월 20일, 료녕성 대련시 샹그릴라호텔 연회장에서는 월드옥타 중국경제인대회 페막식이 한창 열리고있었다. 이번 대회는 월드옥타 전세계 68개국 130개지회의 협회 회원과 중국조선족경제인들이 함께 모여 단결과 화합,상호교류를 통한 국제경쟁력...
  • 2014-09-29
  • “눈부시게 혁신되여가는 이 시대는 나뽈레옹이나 모택동 같은 천만의 독서광을 수요하는 독서광시대라고 말하여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연변청소년문화진흥회 학석윤회장은 “독서운동의 중점은 청소년 독서에 있고 청소년 독서의 중점은 독서에 대한 방법, 습관과 흥취에 있다”고 주장한다. 오락시...
  • 2014-09-28
  •  심수시하루야전자유한회사 남화섭리사장 특별기획-감동조선족 걸출인물(20) 대형계렬기획보도-중국조선족 백년백인(86) 남화섭(南华燮)프로필 1963년 내몽골 울란호트 출생 1983-1987 내몽골대학 계산기전업 1987-1990 내몽골자치구통계국 공무원 1990-1992 중국국제신탁투자회사 직원 1992-1996 심수시투자자문서비...
  • 2014-09-27
  • 몽골씨름왕을 제끼고있는 최형호 지난 8월 30일 내몽골 잘란툰(扎兰屯)에서 있은 훌룬부이르 국제텐트절에서 연변 실외애호자 최형호(55세)가 내몽골의 전업 씨름선수인 20대 젊은이를 제껴 내몽골에서 조선족의 이름을 떨쳤다. 지난 2014년8월30일, 내몽골에서 제1의 칭키스칸촌으로 불리우는 잘란툰(扎兰屯)에서 훌...
  • 2014-09-27
  •  (흑룡강신문=하얼빈)윤운걸 길림성 특파원 = “북경사범대학교 중문과 수업을 들으면서 유종원(柳宗元)시인의 시를 굉장히 좋아하던 차 유종원시인의 시를 바탕으로 하는 ‘유주정기’(柳州情记)라는 영화 대본이 있어서 그 대본을 천천히 읽어보니 대본의 내용도 맘에 들었지만 극중 아옥이라는 여자아이...
  • 2014-09-26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