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시골선생님의 외길 삶
조글로미디어(ZOGLO) 2013년5월22일 09시40분    조회:5618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인물이름 : 김상화

点击浏览下一页

봄에는 향긋한 산나물 냄새가 코끝을 찌르고 가을에는 울긋불긋 단풍으로 아름답게 물드는 오붓한 시골이였다. 화룡시 남평진에서도 더 깊숙이 들어앉은 고령촌에는 100년의 력사를 자랑하는 조선족소학교-용화소학교가 있다.

차로 고령촌까지 가는것도 쉽지 않았다. 고령촌이 가까와질수록 산세가 험해지고 길이 복잡하게 꼬이기 시작했다. 한아름 되는 나무가 겹겹으로 하늘을 가린 산길을 힘겨웁게 2시간정도를 달려서야 아담한 크기의 용화소학교에 다달았다. 학생수 4명, 선생님 8명이 고작이지만 그들의 모습에는 그늘이란 찾아볼수 없다.

세월이 흐르면서 오구작작 모여들던 애들이 하나, 둘씩 시가지로 떠나가고 몇 안남은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는 지금까지 고령마을에 남아있는 유일한 조선족소학교이다. 때묻지 않은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외면할수 없어 30여년을 굳게 한자리를 지켜온 김상화씨에게 학교는 그리움이고 추억이였다.

그 추억과 그리움중엔 유년시절 추억도 한몫 한다. 이른 아침 마을 앞산에서 뻐꾸기가 울 때 긴 사래의 보리밭 사이를 지나 학교로 향했단다. 그리고 학교 울타리에 서있는 앵두나무에서 빨갛게 익은 앵두를 주머니 가득 따 먹기도 하고 수업시간을 빼먹고 온종일 세치네잡이를 하기도 하고…

그렇게 용화소학교는 고령 두메산골을 배경으로 그의 어린시절까지 잇닿아있어 더욱 애틋하다.

하지만 지금은 가르칠 애들이 몇 안돼 이젠 열정도 식었다는 김상화씨는 “속시원히 페교처리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진적도 한두번이 아닙니다”고 독한 말을 내뱉기도 한다. 그래놓고도 이튿날 새벽부터 제일 먼저 학교에 출근해 교실마다 난로불을 피워놓는다, 비자루를 쥐여들고 청소를 한다 북새통이다. 그러기를 어언 30여년…

시골학교 선생님이란 외길을 걷다보니 어찌보면 영락없는 농사군의 모습이다. 농사철이면 학부모들 일에 발벗고 나선다. 수업이 끝나면 선생님들과 조를 무어 벼모내기에, 기음에, 땔감모으기에 못하는 일이 없다. 요즘 이들에겐 별 구경거리 없는 산촌이지만 그에겐 그야말로 별천지이다. 주말이면 산나물 뜯기에도 나선다. 그래서 더욱 소소한 감동을 주기도 한다. 산촌아이들과 고향의 품에서 그는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살고있었다.

그의 책상우에는 누르스름한 손때묻은 필기책 하나가 고스란히 놓여있다. 매일 아침 출근해서 꼭 한번은 펼쳐보는 낡은 필기책은 다름아닌 이 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의 이름이 적혀있는 기록부이다. 지난 1948년부터 지금까지 모든 졸업생들을 기록해놓은 필기책은 2001년 김상화씨가 교장을 맡아하면서부터 물려받은 이 학교 대대로 내려오는 "보물단지"이다.

"모두 1800여명의 졸업생이름이 적혀져있습니다. 350여페지중 200페지만 사용했습니다. 애들이 점점 줄어들면서 이 기록부가 채워치지 못할가봐 걱정됩니다. "

그 기록부를 만지작거리는 그의 량미간의 주름이 깊어간다.

"저 운동장에서 뛰놀던 아이들이 어른이 되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돼서 다시 찾아오는 이들이 많습니다. 학교도 옛날 모습이 아니라 섭섭해하시다가도 이 기록부를 보여주면 그리도 좋아하던 모습을 제가 어찌 잊겠습니까"고 말하는 김상화씨는 흘러나오는 눈물을 억지로 꾸역꾸역 밀어넣느라 애쓴다.

"이 시골마을은 제게는 참 따뜻한 곳이였습니다. 평생 그리운 이름으로만 기억될 용화소학교 마지막 지킴이는 제가 할겁니다."

그의 말처럼 김상화씨와 산촌아이들의 가슴속에 행복했던 나날들이 사람사는 세상의 따뜻한 추억으로 남겨지기를 기대해 본다.

연변일보 글·사진 정영철 신연희 기자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624
  • 할빈시 흠창건석재회사 한군철 경리   (흑룡강신문=하얼빈)리흔 기자=최근 몇년 중국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로 인테리어 시장도 호황세를 타면서 대리석의 수요가 부쩍 늘었다. 과거에 기념물이나 조각 등에 많이 쓰이던 대리석이 요즘은 마감재로 특히 홈 인테리어에서 각광을 받는데 할빈시 흠창건(鑫创建)석재회사 한군...
  • 2017-08-04
  • 산둥성 라붕의류유한회사 이상철 사장   (흑룡강신문=하얼빈)이흔 기자= 어느 순간부터인지 청바지가 젊음, 활력, 패션 등 단어와 어울리면서 젊은이들 속에서 대세가 됐다. 따라서 생산자들은 소비자의 선호에 맞추느라 온갖 재주를 다부리는데 청바지를 빛바랜 복고 스타일로 만드는 등 그것도 모자라 구멍까지 내면서...
  • 2017-08-01
  •    (흑룡강신문=하얼빈)렴청화 연변특파원=2003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토보(淘宝),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성장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브랜드 가치 1위로 부상했다. 경제 활성화의 일등공신인 토보는 수많은 신흥부자들을 배출해냈다.   가눌무역유한회사(迦呐贸易有限公司)의 렴혜정(34세, 광...
  • 2017-07-31
  • 흑룡강송이문화미디어유한회사 김학봉사장   (흑룡강신문=하얼빈) 채복숙 기자=지난달 14일, 초만원을 이룬 할빈시조선민족예술관 극장, 화려한 무대복장을 차려입은 어린이들이 혹은 깜찍하게 혹은 발랄하게 또 혹은 어른스레 노래를 부른다. 무대 아래에서는 학부모들과 관중들이 어깨춤이 절로 나고, 아이 자랑에 웃음...
  • 2017-07-28
  • 연변주법원 전임 부원장 염영강이 말하는 고 윤수범선생 연변주법원에서 근무시 윤수범선생 고 윤수범선생을 회고하는 연변주법원 전임 부원장 염영강 고 윤수범 원장은 1985년도에 연변주법원 원장으로 전근되여 1993년까지 연변주법원에서 근무했다. 윤수범 원장이 갓 조동되여 왔을 때 나는 연변주법원 연구실 주임이였...
  • 2017-07-26
  •                 김영숙, 녀, 조선족, 1932년 3월 출생, 중국공산당원, 길림성 매하구시 광명가도 전도사회구역 주민.     완사업에서 김영숙은 모범이고 적극분자였으며 생활에서 그녀는 같은 표준으로 자신을 요구하고 양아들, 양딸을 자신의 자식처럼 여겼고 사회구역의...
  • 2017-07-26
  • 재한 조선족 서예가 일목 신현산씨의 서예 인생   (흑룡강신문=하얼빈)채복숙기자=웅건하고 박력감 넘치는 한자 행서, 오밀조밀하고 정교로운 한글 판본체... 그의 글씨는 항상 개성이 넘친다는 평판을 듣는다. 최근년간 한국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는 조선족 서예가 일목 신현산(62)씨, 그는 스스로도 묵향에 취해 40년을...
  • 2017-07-25
  •     하얼빈의과대학 제4부속병원 흉부외과 주임의사 최건 박사   (흑룡강신문=하얼빈)이흔 기자= 30년 넘게 의사 생활을 하면서 만 차례 넘는 수술을 집도하고 현재까지 성내 유일한 폐 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완성해 업계 내에서 '가장 먼저 꽃게를 먹는 사람'으로 불리는 의사가 있어 화제가 ...
  • 2017-07-24
  •     (흑룡강신문=하얼빈) 류설화 연변특파원 = 명지바람이 불던 저번주 어느오후, 연변오덕된장술공장은 더욱 그윽한 술향기가 뿜어져나왔다. 구수한 된장문화의 혼과 넋이 이슬같은 술로 빚어져 된장술은 황금삼각주인 연변을 벗어나 이제 ‘통일주’로 부상되며 건축면적이 2만평방메터에 달하는 공...
  • 2017-07-20
  • 南熙哲 光辉灿烂的艺术人生 —访南熙哲先生   郭笑宇       南熙哲,朝鲜族, ,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准博士学位,1958年8月21日出生在美丽的吉林省磐石市明城镇石山村。他历经了文革的浪潮和改革的春风的洗礼,在那个风云变幻的年代,作为一名地地道道的农民的孩子,他毅然选择用艺术改变...
  • 2017-07-16
‹처음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